VOA 뉴스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가 북한, 러시아, 중국에 대한 추가 제재 조치를 발표하며 국제사회의 경고를 재확인했다. 이번 조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활동, 러시아 및 중국과의 국제법 위반 협력 등을 겨냥한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국무부는 2022년 제재 명단에 포함되었던 북한의 ‘성철(Sung Chul)’과 러시아의 ‘미쿠린(Mikurin)’을 다시 제재 대상에 올렸다. 성철은 북한의 주요 조달 네트워크와 관련된 개인으로, 특히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물자 조달에 깊이 관여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러시아의 미쿠린 또한 북한과의 협력 과정에서 금수 품목 조달과 같은 국제법 위반 행위에 연루된 혐의가 제기되며, 미국의 감시 대상이 됐다. 국무부는 이번 제재 조치가 해당 인물들의 불법적 활동을 차단하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또한 북한과 관련된 김상철이라는 개인이 운영하는 두 개의 기업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조달 과정에 깊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목됐다. 이들 기업은 미사일 부품 및 기술 확보를 위해 외국 기업과의 협력 관계를 구축한 혐의를 받고 있다. 미국 정부는 이를 통해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글로벌 공급망을 파악하고 이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국무부 발표와 별도로, 미국 재무부의 해외자산통제실(OFAC) 또한 대북 제재를 중심으로 러시아와 중국과 관련된 제재 명단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재무부는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에서 북한 및 러시아의 불법 자금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금융기관 및 개인에 대한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이번 조치로 제재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국무부는 이날 연방 관보를 통해 2025년 인신매매 실태 보고서에 대한 정보 수집 공고를 발표했다. 이 공고는 미국 및 외국 정부가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최소 기준을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국무부는 이번 서면 정보를 통해 각국의 협력 상황을 분석하고, 인신매매 방지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무부 관계자는 “인신매매는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심각한 인권 문제”라며, “이번 조치는 각국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인신매매를 근절하고 국제사회의 연대와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이번 제재 조치는 국제사회에 대한 강력한 경고로 풀이된다. 북한과 러시아, 중국의 불법 행위에 대한 제재를 통해 미국은 글로벌 안보와 평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으며, 동시에 인신매매와 같은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향후 미국의 대북 및 대러시아, 대중국 정책의 기조를 보여주는 동시에, 국제 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