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생성 삽화
행정안전부는 2025년 1월의 추천 공공서비스로 '공유누리'와 '푸드QR'을 선정하며, 일상 속 국민의 편리함을 높이는 스마트한 서비스들을 소개했다. 이 서비스들은 공공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국민의 생활 편의성 증대를 목표로 한다.
'공유누리'는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약 15만 개의 공공 개방 자원을 국민이 쉽게 검색하고 예약, 결제까지 가능한 플랫폼이다. 무료 주차장, 체육시설, 캠핑장부터 드릴, 사다리, 연구 장비 등 자주 사용하지 않는 물품까지 대여할 수 있다.
최근 이사를 마친 한 사용자는 "전동드릴을 구매하지 않고 공유누리를 통해 빌려 가구를 조립할 수 있어 매우 편리했다"며 만족감을 표했다. 공유누리는 웹사이트와 앱을 통해 이용 가능하며, 공유지도 기능으로 자원의 위치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푸드QR'은 식품 포장지의 QR 코드를 스캔하면 제품 원재료, 알레르기 유발 물질, 영양 성분, 소비기한 등 모든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특히, 자녀의 식품 알레르기로 고민하던 부모들은 이 서비스를 통해 안전한 식품 선택이 가능해졌다는 호평을 받았다.
이 서비스는 2022년 시범 운영 후 2024년 11월 정식 출시되었으며, 현재 국내 주요 식품에 적용 중이다. 앞으로 수입 식품과 농축수산물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한, '푸드QR'은 전자레인지 등 가전기기와 연동해 조리시간 자동 입력 기능도 제공하며, 냉장고에 넣은 식품의 소비기한을 관리하는 기능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국민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공공 자원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 국민 생활의 편의성을 높이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공유누리’와 ‘푸드QR’의 추천은 공공서비스가 국민의 일상과 어떻게 실질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로 평가된다. 정부는 이러한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국가 자원 활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