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굴 수출 강국으로 도약… 세계 1위 목표 달성 위한 전략 발표
  • 최재영 기자
  • 등록 2025-01-09 13:46:26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생성 삽화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9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굴 양식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하며, 굴 산업을 한국의 대표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는 굴 산업의 자동화와 스마트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 시장 다변화를 통해 세계 1위 굴 수출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담고 있다.


2030년 세계 1위 굴 수출국 도전

굴은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수산물로, 현재 한국은 프랑스와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굴 수출국이다. 해양수산부는 2030년까지 굴 생산량을 현재 30만 톤에서 40만 톤으로, 수출액은 8천만 달러에서 1.6억 달러로 2배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전략 1: 생산시설 현대화 및 기술혁신

굴 생산과 가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산지에 굴 양식 전용어항과 집적화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400여 개소의 굴 가공 공장을 집적화하고, 자동화 설비(탈각기, 세척기 등)를 도입해 생산 공정을 현대화한다.


전략 2: 수출 시장 다변화와 국내 소비 확대

유럽 시장의 고부가가치 개체굴 수요를 겨냥해, 일반 굴 어가의 개체굴 전환을 지원하고, 2030년까지 전체 굴 생산량의 30%를 개체굴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국내 시장에서는 굴 가공식품과 다양한 요리법을 개발해 소비를 촉진하고, 굴 자조금 규모를 확대해 업계의 자체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전략 3: 위생·안전 관리 강화

굴 생산 해역의 오염 방지를 위해 하수도 보급률을 높이고, 오염원 배출 행위에 대한 교육을 강화한다. 또한, 굴 껍데기를 재활용해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며, 위생적인 생산 환경을 구축한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굴은 글로벌 수요가 꾸준한 수산물로, 한국의 굴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이라며, “이번 대책을 통해 세계 1위 굴 수출국으로 자리 잡겠다”고 말했다. [출처: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