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형 AI 대기질 모델 개발… 국내 석학들 한자리에
  • 최청 기자
  • 등록 2025-02-19 13:09:17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국립환경과학원은 한국형 인공지능(AI) 대기질 모델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전문가 회의를 2월 20일부터 이틀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국립환경과학원을 비롯한 국내 대기질 예측 및 AI 관련 전문가 약 70명이 참석해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대기질 예측 모델의 개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대기질 예측, AI 기술로 전환 추진


현재 대기질 예측은 수치 모델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더 높은 신뢰도의 예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날 회의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이 개발한 AI 앙상블 예측 시스템이 기존 수치 모델 대비 예측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킨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또한, 산업계와 학계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배출량 개선, 데이터 융합 및 초거대 생성형 AI 모델 개발 사례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재범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장이 사회를 맡아 한국형 AI 대기질 모델 개발 방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토론도 진행된다.


수치 모델 문제점 진단 및 개선 방향 논의


둘째 날에는 기상 및 대기질 관측 전문가들이 모여 AI 모델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학습자료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기상 모델 개선, 대기질 관측 데이터 활용, 최신 대기질 모델 도입 및 적용 방안 등이 포함된다.


국립환경과학원 금한승 원장은 **“이번 회의는 한국형 AI 대기질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자리”**라며, **“첨단 AI 기술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신뢰도 높은 예보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환경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