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에너지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연구개발(R&D)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올해 안으로 100개 이상의 AI 활용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하며, 이를 통해 산업 혁신의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산업부는 AI를 활용한 연구개발 수요를 조사한 결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13개 산업에서 881개의 기술개발 수요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차로 74개 과제를 공고했으며, 상반기 내로 30개 이상의 추가 과제를 공고할 예정이다.
대표적인 지원 과제로는 반도체 제조 자동화, AI 기반 디지털 의료제품 개발, 디스플레이 소재 최적화 등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기술 혁신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지원할 계획이다. 이 모델은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연구개발 시간을 단축하는 역할을 하며,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AI와 로봇을 활용해 자동으로 실험을 수행하는 자율실험실도 올해부터 도입된다. 이를 통해 신소재 개발, 공정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험 시간을 절감하고 연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전 세계 기업과 기술, 인재를 탐색하고 연결하는 Tech-GPT 서비스를 올해 4월부터 베타 테스트로 도입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5개국(미국, 중국, 일본, EU, 한국)의 특허 및 논문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구자와 기업이 필요한 기술 정보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연말까지 Tech-GPT는 1억 1천만 건의 특허와 2억 2천만 건의 논문을 학습하여, 10월부터 기술 정보 무료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정부는 연구개발 지원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 기반 연구 행정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구계획서 작성, 연구노트 자동 생성, 증빙서류 검증 등의 절차가 자동화되며, 연구자들이 본연의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AI는 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 기술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정부는 AI 기반 기술개발을 통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