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정부가 공공부문의 AI 역량 강화를 위해 민간 IT기업과 협력해 전문 인재를 양성한다. 행정안전부와 네이버는 13일 **‘공공 AI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공무원 대상 AI 교육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기로 했다.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공공부문에서도 AI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전문 인력 부족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네이버와 협력해 공무원 대상 **‘공공 AI 전문인재 양성 특별과정’**을 개설해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한다.
이번 교육과정은 3월 31일부터 10일간 진행되며,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 추천을 받은 공무원 20여 명이 참여한다. 교육생들은 네이버의 클라우드 AI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실습을 진행하며, 대규모 언어 모델(LLM) 및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접목한 민원 응대 챗봇 개발 등 행정에 적용 가능한 AI 기술을 배우게 된다.
이번 교육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운영 성과와 교육생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AI 전문인재 양성 과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공공 AI 역량 강화를 위해 네이버의 AI 및 클라우드 기술이 활용되는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실습 교육을 통해 공공 업무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도구를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AI 혁신의 흐름 속에서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 AI 인재 양성이 필수적”이라며, “민간과 협력해 공직 내 AI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