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방위사업청이 한국형 잠수함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잠수함 표준 감항성 관리기준’ 개발에 착수했다. 3월 14일 경남 거제에서 해군,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 ‘잠수함 감항성 관리 협의회’를 개최하며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감항성이란 잠수함이 안정적으로 운용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는 성능을 의미한다. 이번 기준 개발을 통해 국제적 수준의 체계적인 감항성 관리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향후 잠수함 건조 과정에서 적용되어 한국형 잠수함의 신뢰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방위사업청은 민간 전문기관 및 조선소와 협력해 한국형 잠수함에 최적화된 감항성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 1월에는 감항성 관리 절차를 정립하기 위해 ‘잠수함 감항성 관리 세부 지침’을 제정한 바 있다. 해당 지침에는 감항성 관리 대상, 감항성관리위원회 운영, 감항성 관리 절차, 국제 협력 및 수출 지원 방안 등이 포함됐다.
현재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개발된 장보고-Ⅲ급 잠수함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감항성 관리기준이 완성되면 한국형 잠수함의 설계 및 건조 단계에서 더욱 엄격한 안전 기준이 적용될 전망이다.
방위사업청 한국형잠수함사업단장 이상우 고위공무원은 “이번 감항성 관리 세부 지침 제정은 한국형 잠수함의 안전성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협력해 신뢰받는 K-잠수함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출처: 방위사업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