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행정안전부는 3월 19일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 점검과 대책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관련 기관이 참석해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5월 15일~10월 15일)에 앞서 산사태, 하천 범람, 지하공간 침수 등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고 안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마을 주민이 직접 위험 요소를 발굴하는 ‘우리동네 풍수해 안전망’ 사업이 추진된다. 올해는 전국에서 3,317개 위험 요소를 발굴해 550여 개 지역을 우선 정비하며, 이에 필요한 특별교부세 180억 원이 지원된다.
또한, 주민 대피 및 통제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경찰, 공무원, 자율방재단 등이 협력해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과거 사례로, 2024년 경북 안동에서 마을순찰대가 90대 치매 노인과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주민 19명을 대피시킨 사례가 소개됐다.
행정안전부는 4월 말까지 ‘여름철 사전대비 추진상황 점검 TF’를 운영해 기관별 대응 취약 요소를 보완할 계획이다. 오병권 자연재난실장은 “기후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도 극한 호우와 같은 이상기후 현상이 점점 빈번해지고 있다”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사전 대비를 철저히 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