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기획재정부가 4월 8일 제9차 대외경제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한 중장기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진행됐으며, 민간 통상 전문가들이 다수 참여했다.
회의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담긴 정치·경제적 배경과 전략적 의도에 대해 분석하고, 우리 정부와 기업이 향후 어떤 방향으로 대응해 나가야 할지를 다각도로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대외정책 변화가 무역적자 및 재정적자 해소, 대중국 견제를 위한 조치라는 점에 공감하면서도, 각국의 대응 양상이 상이하므로 면밀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언급하며, 우리 수출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수출 경쟁력 강화와 수출시장 다변화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최 부총리는 향후 미국 측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우리 측에 적용되는 관세를 낮추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경제안보전략 TF를 통해 여타 국가들의 대응을 분석하고, 이를 협상 전략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대책으로는 자동차 산업 지원 방안이 이르면 이번 주 중 발표될 예정이며,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 분야에 대한 맞춤형 대응책도 조속히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이번 위기를 산업구조 고도화의 기회로 삼기 위해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최 부총리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기존 점검 체계를 유지하고 필요 시 시장안정 조치를 적극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출처: 기획재정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