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행정안전부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2025년 데이터 기반 지역문제 해결 사업(공감e가득 사업)’에 참여할 5개 지역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사업은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지역의 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 공모에는 총 39건의 과제가 접수돼 7.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지역 현안의 시급성과 주민 참여도,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5개 과제가 선정되었다.
서울 은평구는 교통약자의 이동권 개선을 위해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AI-IoT) 기반 전동보장구 이동안전 플랫폼을 구축한다. 고령자와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 환경 조성이 목표다.
울산광역시는 외국인을 위한 AI 기반 맞춤형 정보 제공 온라인 플랫폼을 마련해 정착과 지역사회 적응을 지원한다. 이는 언어 장벽과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 주민을 위한 조치다.
경기도 하남시는 공원 내 불법 오토바이 통행을 단속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감시 시스템을 도입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쾌적한 공원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전남 강진군은 스마트 낚시 관광 플랫폼을 구축해 바다낚시 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연계할 방침이다. 해양 안전 시스템과 고객 예약 기능이 통합된 이 플랫폼은 낚시 관광객 유치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스마트 드론 방제 시스템을 도입해 고령화된 농촌 인구와 소규모 경작지의 효율적인 농업 생산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선정된 과제에는 과제당 2억 원의 지원금과 함께 맞춤형 현장 컨설팅이 제공되며, 향후 성과 공유회 및 우수사례 확산을 통해 다른 지자체로의 전파도 추진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이 사업을 통해 지역 문제에 대한 창의적 해법을 제시하고 주민 체감형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