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국세청이 발표한 ‘2023년 기준 100대 생활업종 생존율 통계’에 따르면, 창업 후 첫해를 넘기는 것이 가장 큰 고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자료에 따르면 1년 생존율은 2022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2023년에 다소 하락했으며, 3년 생존율은 53.8%, 5년 생존율은 39.6%를 기록했다.
2023년 신규 창업자 수가 많은 생활업종 가운데 1년 생존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미용실(91.1%),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 순이었다. 반면 통신판매업은 69.8%로 가장 낮았으며, 화장품가게(74.2%)와 식료품가게(77.3%)도 낮은 편이었다.
3년 생존율을 기준으로도 미용실(73.4%), 펜션·게스트하우스(73.1%), 교습학원(70.1%) 등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통신판매업은 45.7%로 가장 낮았고, 분식점(46.6%)과 패스트푸드점(46.8%)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40세 미만 창업자에게 미용실(73.9%)이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40~59세 및 60세 이상에서는 펜션·게스트하우스가 각각 73.8%, 76.3%로 가장 높았다. 반면, 호프주점은 40세 이상 연령층에서 가장 낮은 생존율을 기록했다.
국세청은 이와 같은 생존율 데이터를 국세통계포털(TASIS)에 공개하고 있으며, 창업 준비자들이 업종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향후에도 정기적으로 관련 통계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출처: 국세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