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이 군 항공기의 안전한 야간 및 악천후 착륙을 위한 계기착륙장치(ILS) 교체 및 신규 설치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4월 30일 충주비행장에서 열린 설계검토회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일정에 돌입했으며, 사업의 주요 목적은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계기착륙장치는 항공기에 방향, 각도, 거리 정보를 제공하여 조종사가 관제사의 도움 없이도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항행안전무선시설이다.
방위사업청은 총 44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031년까지 설치 기한이 도래한 군 공항의 계기착륙장치를 순차적으로 교체하고, 아직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활주로에는 신규 설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군 공항의 안전성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설계검토회의에서는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논의되었다. 방위각장비의 기초대 높이는 기준인 7.5㎝ 이하로 유지되도록 설치하고, 특히 개선이 시급한 기존 장비는 우선 교체 대상으로 지정된다. 또한, 기존 금속 재질의 활공각장비용 타워는 부러지기 쉬운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교체되며, 계기착륙장치 장비실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받는다.
사업의 또 다른 핵심은 국산화다. 기존 국외 도입 장비는 모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장비로 교체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작전 능력 향상과 군수 지원의 안정성도 확보하게 된다. 향후 방산 수출 확대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규헌 방위사업청 미래전력사업본부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군의 안정적인 항공작전 수행과 비행안전이 보장될 것”이라며, “사업 추진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개선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