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그래픽
오는 10월, 우리 국민 김국기 선교사가 북한 김정은 정권에 의해 강제 억류된 지 10년이 된다. 9월 30일 통일부는 이에 대한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한의 불법적인 억류 행위를 강력히 규탄하며 김국기 선교사와 함께 억류된 6명의 우리 국민에 대한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석방을 촉구했다.
김국기 선교사는 2003년경부터 중국 단동 지역에서 선교활동을 시작해왔다. 그는 탈북민들을 위한 쉼터를 운영하며 북한 주민들을 위한 인도적 지원 활동에 힘써왔다. 그러나 2014년 10월, 북한 당국에 의해 불법적으로 체포되었고, 결국 무기노동교화형이라는 무거운 형벌을 선고받았다. 그의 억류는 북한의 인권 침해 문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국제사회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김국기 선교사의 부인 김희순 씨는 남편의 무사 귀환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칠순을 넘긴 남편이 다시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매일같이 편지를 쓰고, 하나님께 간절한 기도를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김국기 선교사를 비롯한 억류 국민들의 생사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조차 제공하지 않고 있다.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엘리자베스 살몬은 이러한 상황이 가족들에게 "고문에 맞먹는 고통"을 안겨주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억류된 국민들의 생사 여부조차 확인되지 않는 상황은 가족들의 절망을 더욱 깊게 하고 있다.
통일부는 이번 성명에서 북한의 불법적이고 반인륜적인 행위에 대해 거듭 규탄하며,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책임을 묻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특히 지난 9월 20일 미국과 캐나다 등 여러 국가와 공동으로 발표한 성명에 이어, 통일부는 북한이 더 이상 문제를 회피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북한은 이 문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야무야되리라는 오판을 접고,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정당한 요구와 국제사회의 경고를 엄중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통일부는 강조했다.
정부는 자국민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억류된 국민들의 생사 확인과 가족들과의 소통, 그리고 즉각적인 송환을 위해 모든 외교적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특히 북한에 대해 이러한 요구를 명확히 전달하고, 억류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김국기 선교사 억류 10년을 맞아, 그의 가족과 국민들의 간절한 바람은 하나다. 북한의 불법적인 억류가 끝나고 억류된 모든 국민들이 하루빨리 자유의 몸이 되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기를 바라는 것이다. 통일부는 이번 성명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북한은 불법적이고 반인륜적인 국제불법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억류되어 있는 김국기 선교사와 다른 분들을 즉각 한국으로 귀환시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