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 항공위성서비스(KASS) 2호 위성 확보로 초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강화
  • 최재영 기자
  • 등록 2024-11-12 11:35:39
기사수정

KASS 항공위성 1·2호기 위치(자료 국토부 제공)


2024년 11월 12일 –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2호 위성 발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내년 7월부터 대한민국 전역에 1~1.6미터 오차 범위의 초정밀 위치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2호 위성 확보로 항공기 비행 안전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며, 도심항공교통(UAM), 드론,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의 주요 내용

항목내용
위성 명칭 및 기능KASS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GPS 오차를 1~1.6m로 줄여 정밀 위치정보 제공
발사 일자2024년 11월 12일
서비스 개시2025년 7월 예정
위성 위치정지궤도 36,000km, 동경 116° (1호기와 동일)
운영 방식1호기와 2호기가 연동하여 안정적인 연속 신호 제공
주요 활용 산업항공 안전성 향상, 도심항공교통(UAM), 드론, 자율주행차, 대중교통, 실종자 수색 등
연간 경제적 편익연료절감 53억 원, 항공기 지연 감소 172억 원, 사고 감소 12억 원, 탄소 배출 절감 3억 원 등 총 240억 원


KASS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

KASS는 GPS의 위치 오차(평균 15~33미터)를 크게 줄여 항공기와 UAM, 드론, 자율주행차 등에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KASS 2호 위성 발사로 한반도 전역에서 신호 수신이 더욱 원활해져 신뢰도 높은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KASS 도입 전KASS 도입 후
- 오차범위 15~33미터, 일부 공항에서 착륙 경로 제한- 오차범위 1~1.6미터, 모든 공항에서 정밀 착륙 가능
- 지상 항행안전시설 의존 (유지관리 비용 부담)- 장기적으로 지상 항행시설 대체 가능 (비상용으로 전환), 유지보수 비용 절감
- GPS 신호에 대한 신뢰성 부족- GPS 신호 보정으로 높은 정확성 및 10초 이내 오류 경보 제공


KASS 서비스와 항공 안전 및 경제적 효과

KASS 서비스는 항공기 운항의 정확도를 높여 공항 접근성 향상과 항공 안전 강화를 기대하게 한다. 또한 유연한 접근과 착륙 경로 설정이 가능해져 항공기 지연 및 결항이 감소하고, 항공기의 연료 절감과 탄소 배출량 감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빌리티 산업 발전과 국제적 위상

국토교통부는 KASS 2호 위성 확보를 통해 한국이 세계 다섯 번째로 위성기반 정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이 시스템은 항공 분야뿐만 아니라 자율주행과 UAM 등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출처: 국토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