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근로복지공단이 중소기업 근로자의 복지 향상을 위해 ‘2025년 근로복지기금 지원사업’ 시행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사업 예산은 전년 대비 28% 증가한 299억 원으로, 대·중소기업 간 복지 격차 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근로복지기금 지원사업은 대기업이 사내근로복지기금을 활용해 협력업체 근로자들을 위한 복지사업을 시행할 경우, 지출한 비용의 50%를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다. 또한, 여러 중소기업이 공동근로복지기금을 설립할 경우, 대기업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출연한 자금에 대해 최대 100%까지 매칭 지원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 대기업이 협력업체 근로자들에게 장학금과 문화활동 지원비 등으로 4억 원을 지급할 경우, 정부가 2억 원을 지원한다. 공동근로복지기금에 4억 원을 출연하면 최대 4억 원이 추가로 매칭돼 총 8억 원이 근로자들에게 돌아가게 된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66억 원 증액된 299억 원이 배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총 752억 원 규모의 복지비 지원 효과가 예상된다.
근로복지공단은 2015년부터 사내근로복지기금 지원사업을, 2016년부터 공동근로복지기금 지원사업을 운영하며, 현재까지 830개 근로복지기금에 1,137억 원을 지원해 123만여 명의 중소기업 근로자의 복지 수준을 높여왔다.
근로복지공단 박종길 이사장은 “근로복지기금 지원 강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고,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을 확대하겠다”며 “저소득 근로자의 복지 격차 해소와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업 관련 자세한 내용은 근로복지넷 홈페이지(welfare.comwel.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고용노동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