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기부, 미국 관세정책 대응 위한 중소기업 지원 강화
  • 최재영 기자
  • 등록 2025-03-07 17:19:21
기사수정
  • 수출국 다변화·해외 법인 운영 부담 완화 등 대책 추진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3월 5일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율촌을 방문하여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은 올해 2월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한 달간 유예됐다. 그러나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될 경우, 캐나다와 멕시코에 동반 진출한 중소기업과 이들 국가를 통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들은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될 전망이다.


이에 중기부는 지난해 11월부터 '트럼프 2기 대응 전담팀(TF)'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 2월 18일에는 '중소·벤처기업 수출지원 방안'을 발표하며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했다.


먼저, 관세조치로 인해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15개 수출지원센터 내에 애로신고센터를 설치하고 피해 기업에 대한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수출국 다변화를 원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자금 패스트트랙'을 도입하고, 신규 바이어 발굴을 위한 수출 컨소시엄 및 수출 바우처 프로그램에서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해외 법인을 운영하는 중소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도 추진된다. 올해부터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법인에 6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이 공급되며, 대기업과 공동으로 해외 법인을 설립하거나 타 국가로 이전하는 중소기업에게는 최대 3년간 10억 원의 보조금이 지원될 예정이다.


이날 방문한 ㈜율촌의 이흥해 회장은 “미국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바이어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오영주 장관은 “중소기업이 미국 관세조치로 겪는 어려움을 신속히 점검하고, 피해 기업의 경영 정상화와 수출 다변화를 적극 지원하겠다”며, “특히 대기업과 협력하는 중소기업들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기업의 협조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도 중소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