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단지 내 디지털 전환, 저탄소 에너지,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해 총 1조 597억 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 예산 1,170억 원을 바탕으로 민간 투자 9,427억 원을 유치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비수도권 산업단지의 저탄소화 및 정주 여건 개선을 지원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올해 산업단지환경개선펀드를 통해 5개 사업을 우선 협상 대상으로 선정했다. 산업단지환경개선펀드는 정부 예산을 기반으로 민간 투자를 유치하여 산업단지의 업종 고도화, 친환경화, 디지털화, 정주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한다.
이번에 선정된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이번 투자에서 눈에 띄는 점은 비수도권 지역에 대한 집중 지원이다. 익산, 원주, 부산 등 비수도권 지역에 4개 사업이 배정되었으며, 장기 운영이 필요한 연료전지발전 및 스마트팜 같은 분야의 지원 비중이 높아졌다.
산업부는 해당 사업들이 최소 15년 이상 운영될 장기 프로젝트로, 민간이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분야라는 점을 감안해 정부 지원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을 통해 우선 협상 대상 사업자들과의 협의를 신속히 진행할 방침이다. 또한, 기존 산업단지 환경개선 사업들도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투자를 통해 산업단지 내 디지털 및 친환경 시설을 확대하고, 근로자들의 정주 환경을 개선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며 "민간 투자와 협력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