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가 지속가능한 물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3월 28일, 가람동 수질복원센터A 내에 하루 1만7천 톤 규모의 하수를 정화할 수 있는 물 재이용시설에 대한 설계를 마치고 공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총사업비는 약 212억 원으로, 2027년 3월 준공이 목표다.
이 시설은 기존 수질복원센터에서 1차로 처리된 하수를 한 번 더 정화해 수질기준을 충족하도록 개선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정화된 물은 백동천과 내삼천 등 하천 유지용수로 공급되며, 조경수나 도로청소용수로도 활용될 계획이다.
행복청은 오는 2030년까지 총 4곳의 수질복원센터에서 하루 약 20만 톤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확충할 예정이며, 이 중 3곳에는 물 재이용시설을 함께 설치해 전체 하수의 10%에 해당하는 약 2만7천 톤을 재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대평동의 수질복원센터B에서 하루 6,500톤 규모의 물 재이용시설이 운영 중이며, 합강동에 건설 중인 수질복원센터D도 올해 말까지 준공 예정이다.
행복청은 이번 사업이 단순한 하수처리를 넘어 자원순환형 도시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진수 녹색에너지환경과장은 “하수를 자원으로 전환해 맑은 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도시의 핵심 과제”라며, “철저한 공정과 품질 관리를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