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부, 농번기 인력난 해소 위해 외국인 근로자 등 700만 명 공급
  • 정민희 기자
  • 등록 2025-04-21 16:30:48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농림축산식품부는 4월 21일 ‘2025년 농번기 인력 지원대책’을 발표하고, 올해 농번기에 총 700만 명 규모의 공공 인력을 농업현장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농업 외국인 근로자 7만 9천 명을 배정하여 역대 최대 규모로 공급하고, 농협이 주도하는 공공형 계절근로도 90개소에서 3,047명을 운영한다. 농번기 중 농업인력 수요는 총 1,450만 명으로 예상되며, 이 중 절반가량을 공공부문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외국인 근로자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사증발급 전담팀을 출입국관리사무소에 운영하고, 기숙사 건립을 확대한다. 현재까지 전국 30개소에 기숙사 건립이 진행 중이며, 향후 농협도 지원 대상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권침해 예방을 위해 농장주 교육도 강화되며, 계절근로자 전용 안전보험도 활성화할 예정이다.


내국인 인력 확대도 병행한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통해 도시 구직자에게 농촌 일자리를 연계하고, 인력중개 플랫폼을 통해 지역 간 인력을 효율적으로 배치한다. 또한, 사전 농작업 교육을 통해 농가 만족도를 높이고, 농협과 공공기관 간 일손돕기 협약도 확대 추진된다.


특히 취약농가를 위한 영농도우미 지원 예산은 76억 원으로 확대되며, 산불 피해지역 농가를 위한 영농지원단도 가동된다.


정부는 사과, 포도, 마늘, 고추 등 10대 주요 품목의 주산지 32개 시군을 집중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주간 단위로 인력수급과 인건비 동향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필요 시 관계기관 회의를 통해 즉각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현장 방문에서 “농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농번기 인력난이 지속되고 있다”며 “정부, 지자체, 농업인이 함께 근로 여건 개선과 인력 수급 안정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