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5월 28일 ‘화산재 영향분석 및 피해경감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고, 일본 후지산 분화 가능성과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점검했다. 간담회에는 화산방재전문위원회 위원, 기상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관계자 등 전문가 5명이 참석했다.
전문가들은 일본 상공의 주 기류가 서풍인 점을 들어, 후지산 분화 시 국내로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내 자료에 따르면 후지산에서의 화산재 피해 영향권은 대체로 반경 200km 이내로, 약 800km 이상 떨어진 한국은 피해 가능성이 낮다는 설명이다.
이와 별개로 행안부는 백두산 화산재로 인한 국내 피해 가능성에 대비해, 지난 2017년부터 ‘화산재 피해경감 종합대책’을 수립해 추진해 오고 있다. 이 대책은 화산활동 감시 체계 구축, 각 부처별 대응 계획, 연구개발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국토부는 항공 및 도로 인프라 대책을, 환경부는 상수원 및 토양 오염 대책을, 산업부는 전력 및 반도체 산업 기반시설 보호 방안을 담당한다.
간담회에서 행정안전부는 국민들이 화산재 낙하 시 사전에 숙지해야 할 행동요령도 함께 안내했다. 이는 실내 대피, 창문 밀폐, 콘택트렌즈 제거, 마스크 착용, 식수 주의, 농산물 세척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자료에 첨부된 행동요령 인포그래픽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행안부 정창성 자연재난대응국장은 "일본 화산 분화로 국내 피해가 발생한 사례는 없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국민들의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