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 국민 맞춤형 건강관리 위해 영양소 및 유전정보 자료 공개
  • 박민 기자
  • 등록 2024-11-22 10:39:21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 생성 그래픽 디자인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이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KoGES) 자료를 통해 23종 영양소 및 유전정보 데이터를 2024년 11월 22일부터 연구자들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자료 공개는 한국인의 맞춤형 건강관리와 개인화된 의료 기술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 내용 요약

구분
세부 내용
공개 자료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KoGES)의 23종 영양소 및 유전정보 데이터
대상자지역사회 기반, 도시 기반, 농촌 기반 코호트 참여자 총 208,498명 및 14,400명 대상 유전체 데이터
목적맞춤형 건강관리, 약물 반응 분석, 개인화된 의료 기술 개발
특징- 최신 영양성분 자료 기반 업데이트
- 유전자-영양소 상호작용 연구 강화
활용 가능 분야만성질환 연구, 면역 반응 분석, 약물 대사 연구, 식이 행동 연구 등
신청 방법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 및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

자료 구성과 활용 가능성

1. 영양소 및 역학 데이터

이번 공개 자료는 에너지,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 23종의 영양소 변수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한국인의 식이섭취량 분석 및 만성질환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다.

영양소 변수
포함 항목
23종에너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나트륨, 비타민 A·B·C·E, 엽산, 칼슘, 철분 등


2. 유전정보 (한국인칩 v2.0)

한국인칩 v2.0은 기존 버전(v1.0)보다 데이터 용량과 유전변이 분석 역량이 강화되었다. 이는 만성질환 관련 연구와 약물 반응 분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분
한국인칩 v1.0
한국인칩 v2.0
질환 원인 유전변이1,106개120,579개
임상 관련 유전자66,160개280,181개
단백질 기능 관련170,639개517,515개
면역 관련11,338개69,996개


3. 비정상체중 여성 데이터

섭식장애 진단을 받은 698명에 대한 상세한 인체유래물 및 설문 자료도 포함되었다.


공개 자료의 기대 효과

  • 맞춤형 건강관리: 개인의 유전정보와 식이섭취 데이터를 결합해 건강 관리와 만성질환 예방 가능.
  • 의료 기술 개발: 약물 반응 및 면역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 의료 솔루션 설계.
  • 영양소 연구: 식이 섭취와 만성질환 간의 연관성 분석 및 영양소 상호작용 연구 강화.

연구자 접근 방법

공개된 데이터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https://biobank.nih.go.kr)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분양심의를 통해 제공된다. 연구자들은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다.


KoGES 영양조사 및 영양성분 DB 업데이트 방법(출처: 질변관리청 제공}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 데이터 공개는 국민 건강 증진과 바이오헬스 연구에 중요한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며, "질병 예방과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자료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자료 공개는 개인 맞춤형 의료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