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인공지능(AI), 위기가구 복지상담 지원에 나선다
  • 계기원 기자
  • 등록 2024-11-24 15:26:08
기사수정
  • 보건복지부, AI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 기대

자료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는 11월 25일부터 전국 229개 시군구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위기가구 초기상담 시스템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스템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가구를 신속히 발굴하고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둔 정책으로,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시범 운영 결과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AI 초기상담 도입 배경 및 성과

보건복지부는 기존에 사회복지 공무원이 일일이 위기가구와 상담하며 복지욕구를 파악했던 과정을 효율화하고자 AI 기술을 도입했다.


  • 시범 운영 성과:
    • 2024년 7월~11월, 158개 시군구에서 20만 명 이상의 위기가구 대상 상담 진행.
    • 중앙 발굴 대상 20만여 명 중 102,374명(51%)에 AI 상담 적용, 신속한 복지 지원 가능성 확인.


AI 초기상담 절차

  1. 사전 SMS 발송: 대상자에게 상담 안내 메시지 발송.

  2. AI 전화 상담:
    • 발신 전용번호(1600-2129)로 전화, 발신자는 “읍면동AI복지상담”으로 표시.
    • 공통 질문(건강, 경제, 고용 등)과 추가 질문을 통해 복지 욕구 파악.
  3. 결과 분석 및 심층 상담: AI가 수집한 초기상담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 담당자가 심층 상담 및 지원 여부 결정.

주요 내용 및 기대 효과

구분
내용
대상전국 229개 시군구의 단전, 단수, 체납 등 47종 위기정보를 기반으로 발굴된 약 120만 위기가구
운영 주체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지자체
도입 배경빅데이터 기반 발굴 및 AI를 활용한 신속한 초기상담으로 복지 공백 최소화
AI 상담 절차상담 안내(SMS) → AI 전화 상담 → 결과 분석 → 심층 상담 및 복지 지원
기대 효과복지 사각지대 해소, 공무원 업무 효율화, 신속한 위기대응 가능

성공 사례

  1. 대구 거주 A씨 사례
    • 건강보험료 체납 및 경제적 위기 확인 → 긴급 생계지원, 고용복지센터 연계로 취업 지원.

  2. 서울 OO동 사례
    • 과거 공무원이 연락처를 일일이 확인하던 방식에서 AI로 전환 → 조사 시간 단축, 복지지원 신속화.

보건복지부의 의지

이스란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AI 상담 도입으로 복지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도움이 필요한 위기가구를 신속히 발굴하겠다"며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번 AI 초기상담 시스템 도입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사회복지 혁신의 사례로, 복지 전달 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 복지 안전망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