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아시아 지역 해적 퇴치 위해 17개국이 협력 강화
  • 최득진 주필
  • 등록 2024-11-25 10:25:09
  • 수정 2024-11-25 10:30:06
기사수정
  • 인천에서 열린 아시아해적퇴치협정 관리자회의

이노바저널 AI생성 삽화


아시아 해역의 해적 문제 해결을 위해 아시아 17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들이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11월 25일부터 29일까지 인천 오크우드프리미어 호텔에서 '2024년 아시아해적퇴치협정 역량강화 관리자회의(ReCAAP CBSOM)'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해양수산부와 아시아해적퇴치협정 정보공유센터(ReCAAP-ISC)가 공동 주최했으며, 협정 체약국의 해적 대응 책임자뿐 아니라 국내 외교부, 국방부, 해경청 등 유관기관과 민간단체의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해적 피해 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과 아시아 해적 동향, 외국 정부의 사례를 공유하며, 체약국 간 협력을 통해 해적 활동 억제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5년간 아시아 해역에서는 해상 강도 사건이 꾸준히 증가하며 선원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실제로 2019년 62건이었던 해적 사건은 2023년 75건으로 늘어났다. 이에 ReCAAP-ISC는 매년 워크숍과 회의를 통해 체약국의 해적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선박의 안전한 항해와 국제 해상 공급망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아시아 해역의 해적에 대한 회원국의 대응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회의를 통해 각국의 해적 대응 정책이 한층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ReCAAP는 2004년에 체결된 협정으로 아세안 8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총 21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협정에 가입해 지속적으로 활동해왔으며, 이번 회의에서도 해적 대응 국제 협력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이번 회의는 해적 문제에 대한 체약국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아시아 해역의 해상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출처: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