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생성 삽화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27일 서울 중구에서 ‘공급망 통상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미국 신행정부의 출범이 글로벌 공급망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한국의 경제적 기회와 위기를 분석하기 위한 자리였다.
산업연구원은 간담회 발제를 통해 미·중 디커플링 심화와 미국 내 생산 확대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수출 시장의 다각화와 공급망 안정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 신행정부 출범으로 인해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산업별·국가별로 발생할 수 있는 위기를 철저히 분석하고 기회 요인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앞으로 미국뿐 아니라 중국, 아세안, EU 등 주요 수출 시장의 공급망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유사 입장을 가진 국가들과 협력 강화, 자원부국 및 기술선도국과의 공급망 파트너십 체결을 확대할 예정이다.
정 본부장은 “공급망 안정화는 국가 경제의 핵심 과제”라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글로벌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