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방과학연구소, L-SAM 독자 개발 성공
  • 최재영 기자
  • 등록 2024-11-29 14:25:30
기사수정
  • 10여 년간 순수 국내 기술로 완성된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자료 국방부 제공

(대전=최재영 기자) 국방과학연구소(ADD)는 11월 29일,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L-SAM) 개발 종료를 기념하는 행사를 대전 국과연 과학관에서 개최했다. 이는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획기적인 진전을 의미하며, 향후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핵심 방어 체계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L-SAM의 혁신적 방어 기술

L-SAM은 대한민국 최초의 상층 방어 체계로, 탄도미사일의 종말단계에서 고고도 요격이 가능하다. 특히, 이번 무기는 기존의 패트리어트(PAC-3)와 M-SAM-II를 뛰어넘는 방어 능력을 자랑하며, 적 미사일을 대기권 재진입 시 높은 고도에서 요격해 지상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이번 개발에서 국방과학연구소는 적외선 영상 탐색기, 위치·자세 제어장치(DACS), 이중 펄스형 추진기관 등 고난도 정밀 유도 기술을 순수 국내 기술로 구현했다. 이러한 성과는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방위 기술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자료 국방부 제공


김용현 국방부 장관, 기념 행사 및 AI센터 방문

행사를 주관한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L-SAM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수호자이자 억제자"라며, 북한의 미사일 도발 시 견고한 방어망으로 이를 무력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축전을 통해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했다.

이날 행사에 앞서 김 장관은 국방AI센터를 방문해 무인 전투체계 연구 현황을 확인하며 "AI 기반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를 넘어 완전 무인 체계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군의 비전을 제시했다.


향후 계획 및 전망

L-SAM은 2024년 개발 완료 후, 2025년부터 양산에 돌입해 2020년대 중후반 군에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ADD는 탄도탄 및 항공기 요격 시험을 통해 L-SAM의 기술적 완전성을 검증했으며, 향후 더욱 강화된 미사일 방어 역량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성과는 단순히 기술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미래를 재정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L-SAM은 국가 안보의 새로운 상징으로, 첨단 방위 기술을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과학기술 강군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