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특활비는 흥청망청(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국민치안은 팽개치고...더불어민주당의 폭력적 예산정책
더불어민주당의 최근 행보는 정치적 의도가 아닌지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특히 검찰과 경찰의 특수활동비(특활비) 전면 삭감은 치안과 법치주의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 특활비는 범죄 수사와 공공안전 유지에 필수적인 예산이다. 이러한 예산이 없어진다면 수사 기관은 효과적인 활동이 불가능해지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다.
특활비는 국민의 세금을 사용하는 만큼 투명성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검찰과 경찰의 특활비 전액 삭감, 0원은 단순한 투명성 확보를 넘어서는 문제다. 이는 수사 기관의 손발을 묶어 특정 정치 세력이 자신들에 대한 법적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로 비춰질 여지가 크다.
범죄 수사와 치안 유지에 필요한 예산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는다면, 수사는 미궁에 빠지고 치안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국민의 안전을 직간접적으로 위협하는 행위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활비를 완전히 없애려는 시도는 법치주의를 약화시키고, 범죄자들에게 면죄부를 주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검찰과 경찰은 이미 예산 부족으로 인해 주요 수사와 치안 업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범죄 수사가 중단되거나 지연되면, 이는 곧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한다. 더구나 최근의 사이버 범죄, 마약 범죄, 조직 폭력 등 고도화된 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수사 기관의 활동 약화는 곧 범죄자들의 활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치안이 흔들리면 피해는 가장 약한 계층에게 집중된다. 사회적 약자들은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지만, 경찰의 보호가 줄어들면 그들의 생존권이 위협받는다. 또한, 국제 범죄 네트워크와 싸우는 데 필요한 자원이 부족해진다면, 이는 국가 안보에도 중대한 위험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이 검찰과 경찰의 특활비를 "불필요하다"며 전액 삭감하면서도, 국회의 특활비에 대해서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점은 모순적이다. 국회는 과연 특활비의 투명성을 국민에게 얼마나 잘 설명하고 있는가? 만약 특활비 삭감이 진정으로 불필요한 예산을 줄이기 위한 조치라면, 먼저 국회 스스로의 특활비 삭감과 투명성 강화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행보는 그러한 진정성을 찾기 어렵다.
결국, 특활비 삭감은 국민의 치안과 안전을 볼모로 한 정치적 행위로 비춰진다. 이는 정쟁을 넘어선 국정 운영의 본질적 위기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예산 삭감이 국민의 일상과 국가의 법치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깊이 성찰해야 한다. 특활비의 투명성 강화와 효율적 집행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지, 무조건적인 삭감은 해결책이 아니다.
검찰과 경찰의 특활비 전액 삭감은 치안 공백을 초래하고 법치주의를 훼손할 우려가 크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를 단순히 정쟁의 도구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 국민의 안전과 법치주의 유지를 위한 책임 있는 예산 집행 방안을 마련하고, 투명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지금은 국민의 삶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정책이 아닌,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국가의 법적 안정을 다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