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2024년 12월 5일
정부가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책을 내놓았다. 기획재정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 부처는 오늘 관련 대책을 발표하며, 재정 지원, 규제 완화, 피해 구제 등을 통해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주요 내용
1. 금융 지원 확대
-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저리 대출 공급: 총 8천억 원 규모의 추가 자금 지원을 통해 원리금 상환 부담을 완화.
- 거치형 대환대출 신설: 초기 상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년 거치 8년 분할상환 구조의 대출 상품을 도입.
- 성실 상환자 인센티브 강화: 성실 상환자를 대상으로 추가 자금과 보증 지원을 확대.
2. 생업 피해 구제
- 일회용품 규제 개선: 고객의 변심으로 과태료가 부과되는 불합리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명확한 면책 조항을 마련.
- 악의적 리뷰·댓글 피해 대응: 부처합동 대응반 운영 및 소상공인 권리 보호를 위한 ‘소상공인 권리장전’ 추진.
- 노쇼 문제 완화: 외식업종 특성을 반영한 위약금 기준 마련.
3. 매출 확대 및 경쟁력 강화
- 지역 상권 활성화: 로컬 콘텐츠 육성을 통해 지역 상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고, 소규모 상권 대상 지원을 확대.
- 디지털 전환: 온누리상품권 디지털화를 통해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처를 확대.
- 스마트 기술 보급: 소상공인 매장에 키오스크 및 스마트 기술을 도입해 경쟁력을 강화.
현장의 목소리 반영
정부는 이번 대책이 현장의 요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음을 강조하며, 소상공인의 접근성과 신청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홍보와 플랫폼 구축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이번 대책이 실질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소상공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을 요청했다.
정부는 내년 초부터 해당 정책들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반영해 정책을 보완할 계획이다.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