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방위사업청은 항공관제레이더(PAR: Precision Approach Radar)의 창정비요소 개발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군이 직접 항공관제레이더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사업으로 군은 2024년 12월부터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지원하는 필수 장비인 항공관제레이더의 창정비를 국외 의존 없이 국내에서 신속히 수행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레이더 부품을 외국에서 조달하고 수리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나, 이제는 국내 부품 조달과 정비로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창정비요소 개발 사업은 2021년 11월 LIG넥스원과의 계약을 통해 시작되어 2024년 9월 군사용 적합 판정을 받고, 11월에는 공군에 창정비 장비를 납품하며 완료되었다. 공군의 시험평가단 주관으로 약 5개월간의 운영 시험평가가 진행되었고, 모든 항목에서 기준을 충족해 평가를 통과했다.
개발된 시험장비는 무선주파수, 전원, 디지털 소자 등 다양한 고장 식별이 가능하며, 고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정비 시간 단축과 정비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방위사업청 감시전자사업부 윤창문 부장은 “이번 개발로 항공관제레이더의 가동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우리 기술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방위사업청은 항공 안전과 방위산업의 자립도를 높이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발판을 마련했다. [출처: 방위사업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