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산업 구조적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자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2025~2029)을 발표했다. 이 대책은 쌀값 안정화와 고품질 쌀 생산 체계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구조개혁 대책 주요 내용:
재배면적 감축:
- 2025년부터 벼 재배면적을 8만㏊ 감축.
- 농가가 타작물로 전환하거나 친환경 전환을 이행하면 공공비축미 매입 등 인센티브 제공.
- 위성사진을 활용한 면적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품질 고급화:
- 고품질 쌀 전문 생산단지 지정 및 확대.
- 소비자 선호 품종 중심의 정부 보급종 체계 개편.
- 친환경 벼 재배 확대와 관련 인센티브 강화.
신규 수요 창출:
- 민간 신곡 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자금 우대.
- 쌀가공식품 및 전통주 산업 육성.
- 아프리카와 아시아 중심의 국제 식량 원조 확대.
산지유통 경쟁력 강화:
- 고품질 쌀 유통 RPC 지정과 생산이력제 도입.
- 혼합미 비율을 낮추고 단일품종 중심으로 유통 체계 개편.
R&D 기반 확충:
- 비료 저감 기술, 지역별 이모작 모델 개발.
- 헬스케어 및 외국인 수요 맞춤형 쌀 품종 R&D 추진.
기대 효과:
- 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쌀값 안정화와 시장 신뢰 회복.
-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고품질 쌀 생산 체계로 전환.
- 국제 시장과 국내 소비 시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
농식품부 최명철 식량정책관은 “이번 구조개혁 대책은 쌀 산업이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자와 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정책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소비자 중심의 쌀 산업으로의 체질 개선과 함께, 국내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