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인천항·부산항 항만배후단지, 공공과 민간 개발방식으로 분리 시행”
  • 이병덕 기자
  • 등록 2024-12-26 15:06:28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해양수산부는 2024년 12월 26일, 인천항과 부산항의 일부 항만배후단지를 공공과 민간 개발 방식으로 구분해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항만배후단지의 효율적 개발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인천항과 부산항의 발전을 도모할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인천항 2-1단계: 공공개발 인천항 신항 2-1단계 구역(약 157만㎡)은 공공개발로 추진된다. 이 구역은 인천항만공사가 개발을 담당하며, 준설토 투기를 통해 형성된 토지를 활용해 복합물류 및 제조시설, 공공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해당 구역은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해 있으며, 물류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부산항 웅동 2단계: 민간개발 부산항 신항 웅동 2단계 전환부지(약 26.7만㎡)는 민간개발로 추진된다. 해당 부지는 기존의 2종 항만배후단지에서 1종으로 전환된 구역으로, 복합물류 및 제조시설 등을 유치해 부산항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항만배후단지의 역할 항만배후단지는 항만구역 내 물류 및 제조업, 주거시설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항만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특히 1종 항만배후단지는 물류와 제조업 중심의 산업이 입주하며, 2종 항만배후단지는 주거 및 업무시설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정부의 의지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공공과 민간 개발 방식을 균형 있게 조정함으로써 항만배후단지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항만 및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기대 이번 발표는 항만배후단지의 체계적 개발과 활용을 통해 지역 경제 성장과 국가 물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항만배후단지 개발의 공공성과 민간 참여를 조화롭게 유지하며,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출처: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