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2025년도 제품 안전성 조사 계획을 발표하며 해외직구 제품과 국내 유통 제품에 대한 감시를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계획은 위해 제품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해외직구 제품의 조사 대상을 1,000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경찰청, 지자체와 협력해 불법 제품 유통을 막기 위한 합동 단속을 강화합니다.
2024년에 비해 두 배 이상 확대된 해외직구 제품 1,000개를 조사하며,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은 판매 페이지 삭제 요청 등 즉각적인 안전 조치를 취할 예정입니다. 또한, 안전 기준에 부적합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소비자가 안전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리콜 정보를 강화합니다.
화재와 사고 우려가 높은 전기용품, 어린이 제품, 생활용품을 포함한 총 4,700개의 국내 유통 제품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특히, 어린이 제품의 조사 비중을 50% 이상 유지하며, 고령자 제품과 온라인에서 급성장하는 유통 제품에 대한 감시도 확대됩니다.
경찰청과의 합동 단속을 기존 연 2회에서 4회 이상으로 확대하며, 24개 이상의 지자체와 협력해 불법 제품 유통을 근절합니다. 아울러, 소비자 단체 및 온라인 플랫폼과 협력하여 구매 대행, 중고마켓 등에서의 불법 제품 감시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리콜 제품의 재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리콜 사실 통보와 리콜 회수율 제고를 위한 홍보 활동을 추진합니다. 또한, 리콜 제품이 재유통되지 않도록 위해상품판매차단 시스템의 보급도 확대됩니다.
국가기술표준원 진종욱 원장은 “이번 계획이 국민이 안심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업계의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