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정부는 2025년 주요 외교·안보 현안에 대한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국가보훈부 등 4개 부처가 참여한 '주요 현안 해법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주재로 진행되었으며, 각 부처는 전례 없는 국제질서의 불확실성과 북한의 남북관계 단절 심화 등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과제를 공유했다.
외교부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와 조기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경제협력 및 북핵 대응을 강화하고,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요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유지하며 다자 외교 행사인 APEC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할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해외 공급망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경제안보 외교를 강화할 방침이다.
통일부는 북한의 도발에 단호히 대응하면서도 대화의 문을 열어둔 채, 남북관계 안정에 주력한다. 아울러, 북한 인권 문제의 국제화, 탈북민 맞춤형 지원 확대 등 글로컬 통일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국방부는 한미 동맹 기반의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며 방산수출 확대와 장병 복지 개선에 집중한다. 폴란드와의 K2 전차 2차 계약 추진, 캐나다와의 방산 협력 TF 구성 등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견인할 방산수출 계획이 주목된다.
보훈부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국민통합 사업을 추진하고, 보훈외교 확대 및 기부문화 확산, 국가유공자 지원 강화를 중점으로 삼았다. 독립유공자 유해 봉환과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 협의체 운영 등 독립운동의 정신을 기리는 사업도 포함된다.
최 권한대행은 각 부처의 핵심과제를 적극 추진하며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외교·안보 환경을 조성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각 부처 장관들이 한 달에 한 번 언론 브리핑을 통해 국민과 소통할 것을 강조했다.
이번 회의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적 신뢰를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 자리로 평가된다. [출처: 국가보훈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