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 복장의 성명불상의 자가 시민의 휴대폰 카메라를 발로 차는 모습(시민 제보 영상 갈무리)
서울 서부지법 앞, 시민의 권리 침해 논란
지난 1월 17일, 서울 서부지방법원 앞에서 시민이 촬영을 위해 세워 둔 휴대폰 카메라를 경찰관이 발로 차는 모습이 포착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이 행위는 법 집행자로서의 공정성과 직업윤리에 대한 신뢰를 흔들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사건은 시민이 공공장소에서 휴대폰으로 촬영을 진행하던 중 발생했다. 목격자에 따르면, 경찰관이 의도적으로 다가와 휴대폰을 발로 차며 방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시민들은 이를 "직권남용에 가까운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공권력 남용인가, 오해인가?
해당 경찰관은 휴대폰을 차게 된 이유에 대해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시민의 촬영은 헌법상 보장된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의 일환으로서, 이를 고의로 방해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 공권력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경우, 이는 법적 책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서울 서부지법 인근에서 촬영을 목적으로 모인 시민들은 "경찰은 시민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이번 사건은 공권력의 역할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국민의 신뢰 회복 위한 조치 필요
이번 사건은 공권력과 시민의 권리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법학 전문가는 "경찰관의 행위가 공공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더라도, 과잉 대응은 절대 용인될 수 없다"며 "철저한 조사와 적절한 후속 조치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시민단체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권력 남용 방지를 위한 경찰 내부 지침 강화와 정기적 윤리교육 시행을 촉구하고 있다. 해당 사건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경찰 측의 신속하고 투명한 대응이 국민 신뢰 회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서부지법 앞에서 발생한 경찰관의 행동은 공권력의 역할과 시민의 권리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문제를 다시금 화두로 떠올렸다. 앞으로의 대응이 이번 사건을 어떻게 수습하고, 나아가 경찰과 국민 간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기여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