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산림청은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가이아나 등 중남미 국가들과 손잡고 탄소 감축을 위한 산림복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025년 1월 24일 밝혔다. 이 협력은 중남미의 산림복원 잠재력을 활용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주요 협력 사업 산림청은 중앙아메리카의 건조회랑 지역에 속한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과테말라에서 황폐지 복원과 지속가능한 혼농임업을 통해 지역 주민의 소득 창출과 생태계 복원을 동시에 이루고 있다. 이 가운데 온두라스에서는 2023년부터 혼농임업 및 산림경관 복원사업을 진행 중이며, 2025년부터는 REDD+ 사업도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엘살바도르에서는 램파강 일대에 방화수림대를 조성하고 산불 발생 방지를 위한 고성능 산불진화 장비를 지원하며 산림 황폐화를 막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과테말라에서는 지속가능한 산림 생산 시스템 구축과 민·관 역량 강화 교육을 통해 산림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가이아나에서는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와 협력해 맹그로브 숲 복원을 통해 해안가 침식을 방지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하며 주민 생계를 개선하고 있다. 이 사업은 향후 25년간 112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과 국제 협력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산림은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한 자산으로, 한국의 선진 산림기술을 활용해 중남미 국가들과 협력함으로써 기후위기 극복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단순한 산림 복원을 넘어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글로벌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산림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