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농촌진흥청은 마늘·양파의 생육 재생기를 앞두고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봄철 관리 요령을 발표했다.
마늘과 양파는 대표적인 노지 월동작물로, 2월 중하순부터 생육이 재개된다. 이 시기는 낮 기온이 영상권을 유지하지만, 갑작스러운 한파가 발생할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비닐 제거 시기 조절
지나치게 일찍 비닐을 걷으면 저온 피해(동해)를 입을 수 있다. 지난해 마늘과 양파의 파종 및 정식이 늦어진 점을 고려해, 최저 기온이 영하 7~8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을 때 비닐을 제거해야 한다.
서릿발 피해 예방
재배지의 물 빠짐이 원활해야 하며, 땅 위로 드러난 뿌리는 즉시 흙을 덮어줘야 한다. 서릿발 피해를 입은 양파 재배지에서는 새 모종을 심어 수확량을 확보할 수 있다.
토양 수분 관리
가뭄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오전에 물을 공급해야 하며, 특히 강수량이 적었던 경남 지역은 고랑에 직접 물을 댄 후 1~2시간 후 배수해야 습해를 방지할 수 있다.
웃거름 적기 시비
1차 웃거름은 뿌리가 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최저 온도 4도에 맞춰 주는 것이 적절하다. 질소질과 가리질을 함께 살포하면 수확 후 저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전국 주요 마늘·양파 주산지의 생육 상황을 점검하고 있으며, 봄철 저온과 가뭄 대비를 위한 맞춤형 기술 지원을 추진 중이다.
김지성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장은 “마늘·양파는 기후 변화에 따라 생산량 변동성이 크므로,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각 지역별 맞춤 기술 지원과 현장 컨설팅을 통해 농업인들이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농촌진흥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