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영천댐이 2월 19일 오후 4시 기준으로 가뭄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댐 용수 관리를 강화하고 선제적인 용수 비축 대책을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영천댐의 가뭄 ‘주의’ 단계 진입은 예상보다 앞당겨졌다.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해 2월 19일까지 영천댐 유역의 강수량은 예년 대비 **25.6% 수준(15.6mm)**에 불과했다. 이에 더해, 한파로 인해 하천이 결빙되고, 포항시 제2취수장의 가동보 고장으로 인해 하천수 취수가 어려워지면서 영천댐에서 추가로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현재 하천 결빙 문제는 대부분 해소되었으나, 포항시 가동보 시설 보수가 지연되면서 영천댐에서 추가 용수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환경부는 **하천유지용수 감축(최대 4만 톤/일) 및 금호강 수질개선용수 감량(최대 19.2만 톤/일)**을 통해 댐 용수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환경부는 용수 비축으로 인해 하천 유량이 줄어들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수질 악화를 대비해 수질 감시망(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형산강의 수질 및 유량이 양호할 경우, 부조취수장의 가동량을 최대 10만 톤/일로 증량해 생활·공업용수 일부를 대체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전국에서 가뭄 단계로 관리 중인 댐은 영천댐과 보령댐(충남 보령시) 두 곳이다. 보령댐은 1월 2일 가뭄 ‘관심’ 단계에 진입했으며, 안정적 용수 공급을 위해 금강에서 하루 11만 5천 톤의 물을 끌어오는 도수로를 가동 중이다.
박재현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은 **“댐 가뭄 단계 격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환경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