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행정안전부는 3월 1일 서울 중구 숭의여자대학교에서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을 개최했다. 올해 기념식은 ‘그날의 하나된 외침, 오늘의 하나된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독립유공자 유족을 비롯해 국가 주요 인사, 주한 외교단, 시민, 학생 등 1,2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오프닝 영상 상영을 시작으로 국민의례, 독립선언서 낭독, 주제영상 상영, 기념사, 기념공연, 3·1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태극 문양과 만세 음성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영상이 기념식의 시작을 알렸으며, 국기에 대한 맹세문은 배우 김미숙이 낭독했다. 애국가는 독립운동가 이육사의 종손녀 소프라노 이영규와 테너 석정엽, 국방부 성악병이 선창해 의미를 더했다.
독립선언서는 다양한 인물로 분한 배우들과 광복회 이종찬 회장이 함께 낭독했다. 또한, 유관순 열사의 희생을 기리는 ‘소녀의 절개’는 뮤지컬 배우 나하나가 불러 감동을 자아냈다. 주제영상은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대한민국이 세계 선도국가로 성장해 나가자는 희망과 화합의 메시지를 담았다.
기념공연에서는 누베스어린이합창단이 ‘대한독립만세’를 합창하며 선열들의 정신을 기렸다. 이어 성악가 김소현과 합창단이 ‘우리 함께’를 부르며 연대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마지막으로 2025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피겨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 차준환 선수를 비롯한 미래세대 대표들이 다짐멘트를 전한 후, 참석자 모두가 함께 만세삼창을 외치며 행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독립유공자 96명이 포상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행사장에서는 故 오창근 선생의 후손을 포함한 5명의 유공자 후손이 직접 포상을 받았다. 이와 함께 행정안전부는 국민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을 전개하고, 다양한 기념행사를 전국적으로 추진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보훈부를 비롯한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재외공관 등에서도 다채로운 3·1절 기념행사가 열려 전국 각지에서 12만여 명이 참여했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