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정부는 부처합동 사이버안전센터 운영 기관을 기존 6개에서 13개로 확대하고, 보안 관제 역량을 한층 강화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확대 조치는 여성가족부와 그 산하 6개 기관이 신규 참여하면서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사이버안전센터는 인사혁신처, 국가보훈부, 법제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질병관리청, 새만금개발청을 포함한 총 13개 기관의 가상공간 보안을 공동으로 관리하게 된다.
부처합동 사이버안전센터는 2021년 정부 최초로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출범했다. 이 센터는 24시간 보안 관제 체계를 운영하며, 사이버 공격 및 전산망 장애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신속히 대응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확대를 통해 업무 공간이 기존 190㎡에서 346㎡로 늘어나고, 최신 보안 시스템을 도입해 보안 대응 속도와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조치로 기관별 개별 보안센터 구축에 필요한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현재까지 341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뒀으며, 여성가족부 및 산하 기관의 참여로 연간 약 96억 원을 추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원정 인사혁신처장은 “여성가족부의 합류로 사이버안전센터의 통합 관제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정부 부처 간 협업을 통해 보안 체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예산 절감 효과도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도 “보안 역량이 강화되고 빠른 의사결정이 가능해졌다”며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보다 안전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향후 사이버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보안 관제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정보보호 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와 교육 프로그램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