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방사능 사고 발생 시 국민 보호를 위한 방사선비상 대응 체계를 한층 강화한다. 최원호 원안위원장은 3월 7일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방문하여 비상진료 시설 및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는 방사능 재난이 발생했을 때 방사선에 피폭된 환자들에게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핵심 기관이다. 또한, 원안위가 지정한 전국 31개의 1·2차 방사선비상진료기관을 지원하며 방사선비상 대응 체계를 운영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번 점검에서는 방사능 오염 제거 및 응급 처치를 위한 제염·처치실, 방사선 피폭 선량을 확인하는 선량평가 시설 등이 집중적으로 살펴졌다. 선량평가 시설은 피폭 환자의 신체 내부와 외부 방사성 오염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물리적 선량평가 장비와, 혈액을 이용해 인체가 받은 영향을 확인하는 생물학적 선량평가 장비로 구성되어 있다.
최 위원장은 또한 방사능 재난 발생 시 의료지원을 위한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와 현장방사선비상의료지원반의 대응 체계도 점검했다. 이와 함께, 1·2차 방사선비상진료기관의 지원 체계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관계 기관과의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현장 점검 후 진행된 간담회에서는 가상·증강 현실 기술을 활용한 방사선비상진료 교육, 훈련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최 위원장은 “방사능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항상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방사선비상진료체계를 철저히 점검해달라”고 관계자들에게 당부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방사선비상 대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방사능 사고 발생 시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호할 계획이다. [출처: 원자력안전위원회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