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미국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및 자동차 품목 등에 대한 관세 조치가 본격화됨에 따라, 한국 정부가 민관 합동 대응체계를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합동 미국 관세조치 대응전략 회의’**를 열고,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정부 관계자뿐만 아니라 경제단체, 업종별 협회, 학계 및 지원기관 등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4월 초 예고된 상호 관세 및 자동차 등 특정 품목의 추가 관세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포함한 다양한 조치의 영향과 대응 전략이 논의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정부는 1월 말부터 비상 대비 태세를 갖추고 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왔다”며, **“미국과의 고위급 및 실무 협의를 지속하는 한편, 다른 주요국의 대응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우리 산업계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업계에도 미국 내 이해관계자와 적극적인 협력 활동을 지속하고, 정부와 실시간으로 동향을 공유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부는 철강 관세를 비롯해 향후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업계 설명회 개최, 기업 대상 헬프데스크 운영, 제3국 시장 개척 지원 및 생산기지 이전 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 대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자동차 등 특정 업종에 대한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해 장기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민관 협력을 통해 기업들의 부담을 줄이고, 한국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보호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