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이 3월 14일 대한잠사회 잠사유통연구원(충북 청주)에서 ‘누에 안정생산 관리를 위한 민관 합동 현장 지원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에는 각 도의 관계 기관과 민간 단체가 참여하여 누에 생산 전 과정을 점검하고 기술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고온다습한 환경이 지속되면서 누에 사육 과정에서 병해충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누에(원종) 생산량이 감소하고 누에씨 공급에도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농업과학원은 지난해 ‘민관 합동 특별 전담팀’을 운영하며 누에 생산 기술교육, 누에병 예방관리, 누에씨 생산기술 지원 등을 추진했다. 올해는 이를 확대해 ‘민관 현장 지원 협의체’를 구성하고 구체적인 활동 방향과 월별 계획을 마련했다.
협의체는 전국 누에씨 보호·생산 기관 및 업체를 방문하여 누에씨 생산, 사육 환경, 수급 상황, 질병 관리 등 전반적인 생산 과정을 점검하고 기술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누에씨 생산량 감소에 대비하여 지역별 생산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부족한 경우 추가 생산을 하거나 남는 누에씨를 분배하는 방식으로 수급을 조정할 계획이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누에병 예방 소독제 효과 검증시험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한 누에 스마트 생산시설 구축 △기후변화 대응 인공사료 개발 △우수 품종 육성 △홍잠(5령 7일 누에)의 건강기능성 연구 진행 상황 등이 소개되었다.
농업생물부 방혜선 부장은 “이번 협의회를 통해 이상기후로 인한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고, 누에 안정생산과 공급체계가 확립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처: 농촌진흥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