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행정안전부는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서비스 개선모델 개발사업’에 66개 시군구를 선정하고, 주민 중심의 생활안전 강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고령화와 인구감소 등으로 복지·안전 사각지대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민간과 지방정부가 협력해 지역 맞춤형 안전대책을 마련하고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총 27억 4천만 원(국비·지방비 포함)의 예산이 투입된다.
선정된 지자체는 민간단체, 유관기관, 안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안전협의체’를 구성해 ▲위험요소 발굴 및 점검 ▲복지·안전 취약계층 지원 ▲스마트 화재감지기 설치 ▲AI 돌봄기기 도입 ▲침수 대응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예를 들어, 부천시는 지하차도·반지하주택 등 78곳에 스마트 침수알람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방범창과 물막이판이 결합된 안전시설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행정안전부는 스마트 안전 시스템 구축 외에도 구급함, 소화기, 방연마스크 등 응급키트를 지원하고, 주거 취약가구의 안전 점검·수리, 소형 배수펌프 보급 등도 병행한다.
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전국 설명회, 현장 간담회, 우수사례 경진대회, 표준조례안 보급 등 다양한 지원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현장 중심의 복지·안전 기능이 실질적으로 강화되고, 지역 주민의 생활환경이 보다 안전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