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의 박지원 의원이 YTN 라디오 방송에서 내뱉은 발언이 정가를 넘어 국민사회 전반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점술에 의존한 듯한 황당한 표현과 사법기관에 대한 도 넘은 협박성 발언은, 국민이 정치인에게 기대하는 최소한의 품위조차 저버린 언어 폭력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월 2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과 관련해 “8대 0 인용으로 본다”는 예측을 내놓으며, “4월 4일 오전 11시는 사시(巳時)다. 4·4·4는 ‘죽을 사(死)’가 3개라 틀림없이 죽는다”는 발언을 했다. 사법 판단을 다루는 중대한 시점에, 책임 있는 국회의원이 국민의 대표로서 내뱉은 언사는 마치 점쟁이의 예언처럼 들렸고, 수많은 국민은 그 발언을 들으며 자신의 귀를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
이어 박 의원은 “기각이나 각하 의견을 낼 헌법재판관이 있다면 제2의 이완용으로 자자손손 대한민국에서 못 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명백한 협박이며, 사법부의 독립을 부정하고 재판관 개인에 대한 모욕이자 인격살인에 가까운 망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발언은 단순한 언행 실수가 아니다. 박 의원은 대한민국의 입법기관 일원으로서 헌법기관의 판결을 미리 재단하고, 판결의 내용에 따라 재판관을 '역사적 죄인'으로 낙인찍는 극단적 언사를 서슴지 않았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치에 분노할 자유는 있을지언정, 헌정 질서를 무너뜨릴 권리는 그 누구에게도 없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절제된 언행”을 당부했음에도 박 의원의 발언은 이를 철저히 외면한 것이다. 이러한 언행은 특정 정파의 지지층을 결집시키기 위한 ‘정치적 쇼’로서, 결과적으로는 정치 불신과 국민 분열만을 키우고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점술과 협박이 아니라, 법치주의에 대한 신뢰와 성숙한 정치 언어다. 박 의원의 이번 발언은 민주주의의 존립 기반을 해치는 위험한 도발이며, 사과와 자성 없이는 용납될 수 없는 도를 넘은 실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