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부, 초고속 산불 대응 위한 주민 대피체계 전면 개선
  • 최재영 기자
  • 등록 2025-04-16 14:18:47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행정안전부는 최근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초고속 산불로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사건을 계기로, 주민대피 체계를 전면 개선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기상 조건 악화와 급속한 산불 확산 속도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당시 산불은 강한 돌풍으로 인해 시속 8.2km 이상 확산되었으며, 이로 인해 3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산불 발생 시 주민 대피 시점의 혼선, 고령자 보행속도 미반영, 통신두절 등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


개선된 체계의 핵심은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의 정교화 ▲위험구역 설정 기준의 변경 ▲3단계 주민대피 매뉴얼 마련이다. 기존에는 평균풍속을 기준으로 예측했으나, 앞으로는 최대순간풍속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이에 따라 산불 확산 예상거리 기준으로 ‘위험구역(5시간 이내)’과 ‘잠재적 위험구역(8시간 이내)’이 설정된다.


새로운 주민 대피체계는 ‘준비(Ready)’, ‘실행대기(Set)’, ‘즉시실행(Go)’의 3단계로 구성되며, 특히 재난취약시설과 고령자 대상의 사전대피가 강화된다. 산불이 야간에 발생할 경우에는 일몰 전까지 대피를 완료하도록 지자체에 가이드라인이 제시됐다.


행안부는 오는 4월 17일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개선된 대피체계와 국민행동요령을 교육할 예정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초고속 산불에는 대피가 생명”이라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대응 협조를 당부했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