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부, 청년 고용 위기 대응 위해 6대 일자리 사업 집중 추진
  • 최청 기자
  • 등록 2025-04-16 16:57:50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청년고용률 하락과 실업률 상승 등 고용 지표가 둔화되는 가운데, 정부는 2025년 청년 고용 활성화를 위해 총 2조 4,564억 원 규모의 일자리 예산을 편성하고 6대 중점 사업을 중심으로 지원체계를 강화한다고 4월 16일 밝혔다.


올해 3월 기준 청년 고용률은 전년 대비 1.4%p 하락한 44.5%이며, 실업률은 7.5%로 1.0%p 상승했다.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 인구도 45만 5천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구조적인 고용 미스매치가 심각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여 재학, 구직, 재직 단계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한다. 주요 6대 사업은 다음과 같다.


  1.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진로설계부터 취업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취업 졸업생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 2025년 24만 5천 명 이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2.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 다양한 인턴형, 프로젝트형, 메타버스 기반 일경험을 제공하며, 올해는 약 5만 8천 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3. K-디지털 트레이닝: AI,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 중심 실전형 훈련을 통해 4만 5천 명의 실무형 인재를 양성한다. 삼성, LIG넥스원, 서울대 등과 연계된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다.


  4. 청년도전지원사업: 구직을 포기한 청년들에게 사회 적응 및 자신감 회복 프로그램을 제공해 재도전을 유도한다. 2025년에는 부모교실, 또래지원단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1만 2천 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5. 국민취업지원제도: 취업지원 서비스와 함께 월 최대 90만 원의 구직촉진수당을 제공하며, 취약계층 청년의 구직활동을 돕는다. 올해 17만 명 지원을 목표로 한다.


  6.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중소기업에서 청년을 채용하면 기업에 최대 1,200만 원, 청년에게 최대 480만 원까지 지원한다. 신규 유형을 신설해 빈 일자리 업종에 보다 집중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정책이 청년의 경력 단절 방지와 노동시장 안착을 위한 실효성 높은 대응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청년고용올케어 플랫폼’과 지역 협업 체계 등 연계 기반도 강화해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출처: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