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이노바저널 AI 디자인
임종석 전 문재인 대통령 비서실장은 9월 19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9·19 평양 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서 "통일, 하지 맙시다"라는 발언을 통해 큰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남북한이 통일을 지향하는 대신, 두 개의 국가로서 서로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는 방안을 제안했다.
임 전 실장은 "통일을 꼭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내려놓자"며, "객관적 현실을 받아들이고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대한민국 헌법 제3조에 명시된 영토 조항을 개정하거나 삭제하자는 의견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기존의 통일 지향적 정책과는 크게 상반되는 입장으로, 남북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안한 것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3조는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임 전 실장의 발언은 헌법적 근간을 흔드는 제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국가의 정체성과 영토 주권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임 전 실장의 발언은 북한의 입장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는 국내외적으로 큰 정치적 파장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법률상 반국가적 행위로 간주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남북 관계는 매우 민감한 상태에 있다. 이러한 발언은 남북 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킬 수 있으며, 평화적 해결을 위한 대화의 장을 좁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통일을 포기하고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는 주장은 많은 국민들에게 충격이다. 이는 국민적 합의 없이 이루어진 발언으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행위이다.
임종석 전 비서실장의 발언은 남북 관계와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촉발시킬 수 있지만, 그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발언이 가져올 수 있는 정치적, 사회적 파장을 고려하여, 보다 깊이 있는 논의와 국민적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누구든 헌법상 고려 되어야 할 내용의 행위에는 국가책임이 따름을 항상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