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인공지능으로 위기가구 돌본다… 16개 지자체에 AI 안부확인 사업 지원
  • 최재영 기자
  • 등록 2025-04-24 15:11:43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행정안전부는 4월 25일, 인공지능(AI) 전화를 활용한 위기가구 모니터링 사업을 16개 지자체에 본격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최신 기술 도입의 일환으로, 각 지자체가 지역 내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앞서 행안부는 2023년 10월부터 네이버와 SK텔레콤과 협력해 수원, 부천, 전주, 경주 등 4개 지자체에서 약 4천 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상담 시나리오를 개발한 바 있다. 이 사업은 고독사 위험군 등 위기 가능성이 있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AI가 주기적으로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고, 응답 결과에 따라 복지공무원이 선제적으로 현장을 대응하는 방식이다.


AI 전화는 복지 혜택 안내, 위기 대응 요령 전달, 후원물품 신청 등 반복적인 행정업무도 수행해 복지 인력이 보다 중요한 현장 대응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에 사업이 확대된 16개 지자체에는 서울 동대문구, 부산 사상구, 대전 대덕구와 중구, 강원 원주시, 충북 충주시, 충남 천안시와 금산군, 전북 남원시, 경북 경주시와 구미시, 경남 산청군, 거제시, 창녕군, 제주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포함되어 있다.


행안부는 이번 AI 기반 시스템이 지역별 특성에 맞는 위기가구 발굴과 사후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본근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장은 “AI 기술이 주민 개개인의 복지 사각지대를 메워주는 따뜻한 기술로 자리잡길 바란다”며, 지자체의 활용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