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SK텔레콤 해킹 사고를 악용한 피싱 및 스미싱 시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유심교체’ 또는 ‘도착 알림’ 등을 가장한 악성 스팸 문자에 대한 이용자 주의보를 발령했다고 2일 밝혔다.
해당 스팸은 이용자에게 링크(URL)나 QR코드를 통해 본인인증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악성코드 감염을 통해 개인정보와 금융정보 탈취, 원격 제어 등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방통위는 이러한 링크나 메시지를 수신했을 경우, 반드시 이동통신사 공식 고객센터를 통해 진위를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문자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거나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직접적인 금전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방통위는 스팸 신고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이동통신사업자들에게도 지능형 스팸 필터링 강화를 요청한 상태다. 이용자들은 카카오톡 채널 ‘보호나라’를 통해 의심문자나 QR코드를 점검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는 ‘알 수 없는 출처의 앱 설치 차단’ 기능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방통위는 앞으로도 유심 해킹과 관련한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감시와 이용자 교육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