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지역 일자리 양극화 확대…청년 유출과 지방소멸 대응 위한 정책 필요
  • 정민희 기자
  • 등록 2025-05-09 10:18:24
기사수정

이노바저널 AI 생성 삽화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일자리 격차가 확대되며 지역 청년 인구의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위험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취업자 수가 증가한 상위 20개 시군 중 12곳이 수도권 신도시였으며, 이 지역들에서 증가한 취업자는 전체 증가분의 약 47%를 차지했다. 특히 경기 남부권의 수원, 화성, 용인 등은 대규모 일자리 중심지로 성장했다.


반면, 인구소멸 위험 지역에서는 청년층 취업자 수가 급감했다. 전북 순창군은 청년 취업자가 10년 새 70%나 감소하며, 2023년 기준 청년 비중이 전국 최저 수준인 1.8%에 머물렀다. 수도권과 충청권 등으로의 청년 이동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여성 고용률은 제조업 중심지였던 광양, 거제, 여수, 영암 등에서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태백·삼척·정선과 같은 폐광지역이나 군부대 이전 지역에서도 대체 산업 활성화와 함께 여성 고용률이 높아졌다.


월평균 임금 격차도 심화됐다. 2013년 임금 상위 10개 지역 중 8곳이 비수도권이었지만, 2023년에는 세종시를 제외하고 모두 수도권 지역이 차지했다. 울산, 광양, 거제 등의 순위는 하락해 임금 중심지로서의 위상도 약화되었다.


보고서는 지역 간 일자리 양극화 원인으로 제조업 쇠퇴와 지역 인재 유출을 지목하고, 기존의 ‘기업 유치 후 일자리 창출’ 방식에서 벗어나 ‘인재 중심의 지역 매력화 전략’으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 중소기업의 고용 질 개선, 지역 자율성 강화, 중앙정부의 정책역량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출처: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