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5월 15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영남지역 산불피해 복원·복구 추진단’ 전체회의를 열고, 지난 3월 대형산불 피해지에 대한 신속하고 과학적인 복원·복구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산불 피해 지역 주민과 임업인의 조속한 일상 복귀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계획 수립을 목표로 하며, 기존 3개 분야(산림복원, 사방복구, 긴급벌채)에 자원활용, 지역활성화 2개 분야를 추가해 추진단의 범위를 확대했다.
회의에는 산림 관련 학계,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등 다양한 민관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추진단은 사방·시설복구반, 긴급벌채반, 자원활용반, 조림·생태복원반, 지역활성화반 등 5개 분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산림청은 이번 회의를 통해 기존 산불피해 복원 표준 의사결정 흐름도를 고도화하고, 지역별 여건을 반영한 복원계획 수립을 위한 지역협의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피해지역 임업인의 요구를 반영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실질적인 복원·복구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전문가 지침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첫 전체회의로, 오는 6월과 7월에는 시·도별 현장 토론회와 복구계획 점검이 진행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복원계획이 수립된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이번 추진단 운영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산림복원 방향을 마련하고,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신속한 회복을 이끌어내겠다”고 전했다.